단계
초등학교 저학년 때는 독서력과 어휘력이 발달하는 시기이다. 이 시기는 책을 가까이하고 책을 읽는 활동에 흥미를 갖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.
글쓰기 전 활동
• 독서에 재미를 붙이고 글자보다 그림을 보고 이야기를 상상하거나 뒷이야기 자유롭게 상상하기 등 상상의 나래 를 펼쳐본다.
• 선생님이나 부모와의 대화를 통해 낱말이나 단위 문장 수준 정도로 주장과 이유를 말하는 활동을 한다. 예를 들 어 인형을 안고 기뻐하는 아이 그림을 보며 그 까닭을 이야기 하는 식의 활동 등이다. (1학년 1학기 국어 ‘쓰기’ 셋째 마당)
글 쓰는 방법 익히기
• 책을 읽다가 모르는 단어가 나오면 질문을 하여 단어의 뜻을 알아보고 다시 사용해 보도록 한다.
• 독후감을 쓰거나 논술을 써 보는 경우, 하나씩 단계별로 질문을 해보면서 답을 찾아가는 과정을 적어본다. [예시] 책을 읽으니 결말부분에에 주인공은 어떻게 되었을까?
논리적 표현력을 키워주는 활동들
• 책 뿐만이 아니라 신문의 다양한 자료를 이용하면 좋다.
• 광고나 사진을 이용하여 이야기 상상하기
• 큰 글자를 잘라 자신이 아는 단어 만들기 여러 가지 신문 광고를 잘라 연결해 하나의 완성된 광고 만들기 .
단계
논술은 주장과 근거란 사실을 깨닫게 해 주는 단계이다. 이 시기에는 생각을 글로 표현하는 활동에 관심을 갖도록 한다.
글쓰기 전 활동
• 나름의 타당한 근거를 바탕으로 말할 때이며 교과서에서도 그런 생각을 단위 문단 수준 정도로 펼치도록 한다. 예를 들어 ‘동이’와 ‘동이 어머니’의 의견을 들은 뒤 그들의 의견을 정리하고,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 이유를 적는 식이다.(4학년 2학기 국어 말하기 · 듣기 · 쓰기 첫째마당)
• 책 속의 사건이나 주인공의 행동에 대해 자기의 의견을 말해 보고, 자신의 의견과 다른 것을 들을 땐 나와 다른 점을 비교하거나 질문을 하는 것이 좋다.
• 읽을거리를 함께 읽은 뒤 토론활동을 한다. 책을 읽은 뒤 요점을 정리해 말하고, 토론을 통해 정확히 이해했는지 확인한다. 이는 독해력 향상에 필요한 과정이다.
글쓰는 방법 익히기
• 문장에서 낱말의 배열 순서가 제대로 됐는지, 표현하고 싶어 하는 내용이 문장으로 잘 정리 되었는지 읽어보고 고치도록 한다.
• 글의 체계에 대해 익히도록 한다.
서론, 본론, 결론의 체계에 맞추어 감정에 치우치기 보다 논리적으로 표현하도록 노력한다.
논리적 표현력을 키워주는 활동들
• 신문을 이용하여 흥미를 느끼는 기사, 피부에 와 닿는 기사 등을 스크랩 해 두었다가 자신의 의견을 쓰거나, 논 술문 형태로 글을 쓰면 논리적 표현력을 키우는데 도움이 된다.
단계?
논술이 ‘주장 - 근거 - 설명’이란 걸 알 수 있는 시기이다. 이 시기는 다양한 각도에서 문제에 적용할 수 있는 통합적 사고가 가능하고, 여러 문단이 결합해 완성된 수준의 논술이 이루지는 단계이다.
글쓰기 전 활동
• 토론을 통해 자신의 생각이나 의견을 자료와 근거를 제시하면서 주장을 한다. 더 설득력 있게 얘기하기 위해 주 장과 근거 간 추론도 가능하다. 교과서 예를 들어 토끼들이 식량 창고를 어디에 지어야 할까를 정할 때
- 다수결의 좋은 점
- 소수 의견 존중
- 민주적 결정 방법 등을 함께 고려하는 식으로 논리적 전개를 한다. (5학년 도덕 7단원)
• 토론을 하면서 자신의 말과 글에 더욱 설득력을 갖도록 노력하고 상대방의 주장을 반박하기 위해 사전 지식과 정보를 활용한다.
글쓰는 방법 익히기
• 자신의 주장과 다른 주장에 대한 각각의 근거를 만들고 쟁점이 무엇인지, 상반되는 주장이나 입장의 장단점은 어떤지 비교해 글로 정리한다.
• 쟁점해결을 위해 창의적인 대안을 제시한다.
논리적 표현력을 키워주는 활동들
• 일상생활이나 학교생활을 하면서 일어난 문제에 대한 생각과 해결방안을 제시한다.
• 배경지식을 활용한다.
예를 들면 과학시간에 화산에 대해서 배우면 화산의 지질학적 측면 뿐 아니라 화산 폭발의 역사, 화산과 그 곳에 사는 주민과의 관계 등에 관한 지식도 함께 공부하여야 한다. 즉, 과학뿐 아니라 역사와 사회 책도 함께 읽어야 다양한 각도에서 문제에 적용할 수 있는 통합적 논술이 이루어 질 수 있다.